728x90

백준 2665 - 미로만들기

시간 제한 1초, 메모리 제한 128MB

# 조건

  • n×n 바둑판 모양으로 총 n2개의 방이 있다.
  • 일부분은 검은 방이고 나머지는 모두 흰 방이다.
  • 검은 방은 사면이 벽으로 싸여 있어 들어갈 수 없다.
  • 서로 붙어 있는 두 개의 흰 방 사이에는 문이 있어서 지나다닐 수 있다.
  • 윗줄 맨 왼쪽 방은 시작방으로서 항상 흰 방이고, 아랫줄 맨 오른쪽 방은 끝방으로서 역시 흰 방이다.
  • 시작방에서 출발하여 길을 찾아서 끝방으로 가는 것이 목적인데, 아래 그림의 경우에는 시작방에서 끝 방으로 갈 수가 없다.
  • 부득이 검은 방 몇 개를 흰 방으로 바꾸어야 하는데 되도록 적은 수의 방의 색을 바꾸고 싶다.
  • 아래 그림은 n=8인 경우의 한 예이다.

  • 위 그림에서는 두 개의 검은 방(예를 들어 (4,4)의 방과 (7,8)의 방)을 흰 방으로 바꾸면, 시작방에서 끝방으로 갈 수 있지만, 어느 검은 방 하나만을 흰 방으로 바꾸어서는 불가능하다.
  • 검은 방에서 흰 방으로 바꾸어야 할 최소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    • 단, 검은 방을 하나도 흰방으로 바꾸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0이 답이다.

입력

  • 첫 줄에는 한 줄에 들어가는 방의 수 n(1 ≤ n ≤ 50)이 주어지고, 다음 n개의 줄의 각 줄마다 0과 1이 이루어진 길이가 n인 수열이 주어진다.
  • 0은 검은 방, 1은 흰 방을 나타낸다.

출력

  • 첫 줄에 흰 방으로 바꾸어야 할 최소의 검은 방의 수를 출력한다.

# 접근 방법

  • 다익스트라를 이용하여 풀어준다.
  • 다만 최소의 거리가 아닌 검은 방에서 흰 방으로 바꾸어야 하는 최소의 수를 우선 순위로 둔다.
  • 따라서, 현재까지의 경로에서 변경한 수를 첫 번째 인자로 담아주면 된다.
  • 또한, dist 배열을 최대한 큰 수로 지정해놓은 후, 현재까지 변경한 횟수가 더 작은 경우에도 heappush 해주며 재탐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.
  • 주의할 점은, 4방향을 탐색하며 heappop을 하여 얻어낸 cnt 인자를 직접적으로 +1을 해준다면, 4방향 탐색을 하며 마지막 방향은 +4가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.
    • 따라서, temp 인자를 cnt를 복사해주어 1방향에 대해 1번의 가중치를 주게 만든다.
import sys  
sys.stdin = open('input.txt')  
input = sys.stdin.readline  
from heapq import heappop, heappush  


def dijkstra():  
    q = []  
    heappush(q, [0, 0, 0])  
    while q:  
        cnt, si, sj = heappop(q)  
        if (si, sj) == (N-1, N-1):  
            return cnt  
        if dist[si][sj] < cnt:  
            continue  
        for d in range(4):  
            ni, nj = si+di[d], sj + dj[d]  
            temp = cnt  
            if 0<=ni<N and 0<=nj<N:  
                if arr[ni][nj] == '0':  
                    temp += 1  
                if dist[ni][nj] > temp:  
                    heappush(q, [temp, ni, nj])  
                    dist[ni][nj] = temp  

di, dj = [1, -1, 0, 0], [0, 0, 1, -1]  
N = int(input())  
arr = [list(input().strip()) for _ in range(N)]  
dist = [[float('inf')] * N for _ in range(N)]  
dist[0][0] = 0  
print(dijkstra())
728x90